월지 3

실전 통변론

◎실전 통변론. 1. 년월에 재관인이 있고 신왕사주이면 명문가 출생에 선대의 유업을 물려받는다. 乙壬丁戊 亥子未申 2. 신왕한 일간에 년주에 재국을 놓거나 재고이며 용신이 있으면 조상이 부자였다. 甲戊己壬 戌寅巳辰 3. 년주에 관이 국을 이루고 희신이면 관은 벼슬이니 조상이 벼슬을 했다. 戊己壬甲 戌巳亥未 4. 신약사주에 년월에 상관이 태왕하고 기신에 해당하면 조부가 단명하며 조상이 곤궁하다. 甲戊辛辛 戌寅酉巳 5. 월주에 관살이 득국이면 부친이 고관이다. 가령 신왕한 戊토 일주에 갑인월주이고 인해로 합을 이루니 부친이 고관대작이다. 丁戊甲丁 巳戌寅亥 6. 재성이 득지 득국하고 장생지에 있으면 부친이 장수하고 덕망이 높다. 가령 신왕한 壬수 일간에 월간에 丙화가 병인으로 장생지이며 인해가 목국을 이루어 ..

명리학 연구 2024.01.20

투파이야기(12) (월령론)

투파이야기(12) (월령론) 투파이야기는 과거에 웹 서핑 중에 퍼온 글이었는데, 연재 式으로 올립니다. 本文 중에 誤,脫字는 訂正하고 本文과 관련 없는 글은 옮긴이의 自意로 삭제하였습니다. ** 透派에 관한 글 내용은 옮긴이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음을 밝힙니다.** - 아래 - 정통 透派와 透派를 근간으로 하는 이론이 뒤섞여 있으니, 이 점을 참고하시고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다음의 글은 1998년 2월에 제가 하역회 명리 게시판에 올렸던 글인데, 透派 四柱學 이론 가운데 일부 내용을 소개한 것입니다. 透派이야기가 나왔기에 소개하는 의미에서 퍼왔습니다. --------------------- 월령(月令)과 월지(月支) 투파를 알기 위해서는 월령(月令)과 월지(月支)의 개념을 분명히 알고 운용해야 한다. 기존..

투파식 명리 2023.02.14

왕쇠강약(旺衰强弱)

왕쇠강약(旺衰强弱) 봄철의 나무는 월령(月令)의 氣가 일간(日干)과 一致하니 旺이 되고 가을철의 나무는 月令의 氣가 日干을 剋을 하니 衰가 된다. 旺 : 氣 : 月支의 계절을 得한 것. 衰 : 氣 : 月支의 계절에 反하는 것. 비고: 陽干은 氣從하므로 旺衰의 영향을 많이 받고 陰干은 勢從하므로 强弱에 영향을 받는다. ​ 强 : 勢 : 地支에 通根한 것. 弱 : 勢 : 地支에 通根을 하지 못한 것. 비고: 세(勢)의 경중(輕重)은 월지, 시지, 일지, 년지 순이다. 팔자(八字)의 용신(用神)은 健旺해야 참다운 貴格이 될 수 있다. 用神이 陽干이면 氣從하므로 계절의 氣를 得해야(물론 通根) 眞神이 된다. 用神이 陰干이면 勢從하므로 月支에 通根만 해도 眞神이 된다. ​ ​ - 웹사이트 -

명리학 연구 2022.1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