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사 기우만 3

전남 무안. 무안박씨. 양림사(揚林祠)

양림사 전경.  *양림사는 문이 잠겨있어 내부로 들어갈 수가 없어 담장 밖에서 촬영하였습니다.    *소재지: 전라남도 무안군 무안읍 수양길 145-1 (매곡리 806-3)    양림사 사당.  양림사(揚林祠)는 죽파(竹坡) 박기청(朴淇靑) 선생의 제자들이 서기 1966(丙午)년에 선생의 학덕을 추모하는 정성을 모아 양림단을 창건하여 매년 4월 3일에 향배해 오다가 서기 1976(丙辰)년에 향내 유림의 발의로 송사 기우만 선생을 주벽으로 모시고 양림사를 창건하여 죽파를 배향하여 오늘에 이르렀다.   - 웹사이트 -   양림사 현판.   양림사 묘정비.   양림사 삼문.   양림사 뒷편에서 본 장면.  *양림사 담장 밖에는 무안박씨의 많은 공적비가 세워져 있었다.   수송 박학재 공적비.   학산 박공 행..

발길을 따라 2025.03.03

전남 장흥. 청주김씨. 동백정(冬柏亭) 전남 문화재자료 제169호.

장흥. 동백정(冬柏亭)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169호.(1988. 12. 21. 지정)   *주소: 전남 장흥군 장동면 흥성로 815-86 (만년리 707)   동백정(冬柏亭)은 장동면 호계마을 옆으로 흐르는 부산천변의 동산에 자리잡고 있는 정자로서 조선 숙종 41년(1715)경부터 마을 사람들이 참석한 대동계의 집회소로 이용하던 마을 정자이다. 처음 지은 것은 세조 4년(1458) 동촌 김린(1392∼1474)이 관직에서 은퇴한 뒤, 은거하기 위해 지은 가정사(假亭舍)로부터 시작된다. 가정사(假亭舍)는 선조 17년(1584) 후손인 김성장이 고쳐지었고 김린(金麟)이 심어 놓았던 동백나무가 울창하여 정자의 이름을 '동백정(冬柏亭)'이라 고쳤다. 지금 있는 건물은 1985년 후손들이 다시 고쳐 지은 것이..

문화재 탐방 2024.10.21

전남 장흥. 장흥위씨. 죽헌고택(竹軒古宅) 전남 민속문화재 제6호.

죽헌고택(竹軒古宅) *구, 위성룡 가옥.   전남 민속문화재 제6호.(1986년 2월 7일)   *주소: 전남 장흥군 관산읍 방촌길 101 (방촌리 477)   장흥 죽헌고택 안내판.  장흥 죽헌고택(竹軒古宅)은 관산읍 방촌마을 중심에 위치한 장흥위씨 청계공파 지장손 집이다.1986년 2월 7일 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6호로 지정되었다. 죽헌고택(竹軒古宅)은 위계창(1861~1943)이 살았던 집으로 죽헌은 그의 호이다.과거에는 장흥 위성룡 가옥으로 불리다가 현재에는 "장흥 죽헌고택"으로 불리고 있다. 위계창은 파조 청계 위덕의의 10대손으로 위덕의는 선조 6년 생원시에 입격하고 임진왜란 때 장흥에서 의주까지 90일간 걸어서 피난 중인 선조를 알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곳은 남도지역의 전형적인 양반가의..

문화재 탐방 2024.1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