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종각 4

전남 강진. 정수사(淨水寺) 전남 유형문화재 제101호.

정수사 표지판. 정수사 대웅전(淨水寺 大雄殿)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01호.(1985.02.25. 지정)   ▶소재지: 전남 강진군 대구면 용운리 산26 (대구면 정수사길 403)   정수사 안내판. 정수사는 천태산에 있는 절로 기록에 의하며 통일신라 말 애장왕 6년(805)에 도선국사가 세웠다고 한다. 세울 당시에는 계곡을 중심으로 양쪽에 묘덕사와 쌍계사 두 절이 있었는데 후에 쌍계사는 수정사라 이름을 바꾸었다. 한동안 폐허가 되었던 것을 중종 19년(1524)다시 지으면서 정수사라 이름을 바꾸었고, 이후 여러 차례 다시 짓거나 수리를 하였다.정수사 대웅전은 절의 중심에 있는 법당으로 석가모니를 모시고 있으며 4번에 걸쳐 수리한 기록이 있다. 앞면 3칸·옆면 2칸의 겹처마로 가장 단순한 맞배집이다...

한국의 절집 2024.08.28

전남 영암. 망월사 석불좌상 (전남 유형문화재 제259호)

영암. 망월사 석불좌상(靈巖. 望月寺 石佛坐像)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59호. (2002.11.27. 지정)  주소: 전남 영암군 신북면 호산로 611-35 (이천리 산 159-7)  당우는 극락전과 약사전으로 규모는 조그만 절집이지만 약사전에 봉안되어 있는 석불좌상이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59호로 지정되어 있는 유서 깊은 사찰이라 할 수 있다.  망월사 극락전.  극락전 현판.  극락전 삼보불전.  삼보불전.  삼보불전.  지장탱화.  삼성탱화.  신중탱화.  범종각을 대신한 극락전에 안치한 호산 망월사라고 새겨진 종.  석불좌상을 모신 약사전.  약사전 현판.  망월사 석불좌상 안내문.  망월사 약사전에 봉안되어 있는 이 불상은 두께가 32㎝나 되는 두꺼운 돌에 양각을 한 여래좌상이다. 불신 뒤에..

한국의 절집 2024.06.10

전남 영암. 전남 문화재자료 제79호. 도갑사(道岬寺)

월출산 도갑사 일주문.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79호. (1984년 2월 29일 지정) *주소: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도갑사로 306. 대한불교조계종 제22교구 본사인 대흥사(大興寺)의 말사이다. 신라 말 국사 도선(道詵)이 창건하였다. 원래 이곳에는 문수사(文殊寺)라는 절이 있었으며 도선이 어린 시절을 보냈던 곳이다. 전설에 의하면, 도선의 어머니 최씨(崔氏)가 빨래를 하다가 물 위에 떠내려 오는 참외를 먹고 도선을 잉태하여 낳았으나 숲 속에 버렸다. 그런데 비둘기들이 날아들어 그를 날개로 감싸고 먹이를 물어다 먹여 길렀으므로 최씨가 문수사 주지에게 맡겨 기르도록 하였으며, 장성한 그가 중국을 다녀와서 문수사 터에 이 절을 창건하였다고 한다. 그 뒤 1456년(세조 2)신미(信眉)와 수미(守眉)가 중건..

한국의 절집 2023.07.19

전남 해남. 천년고찰 대흥사(大興寺)

해남, 대흥사 일주문. *주소: 전남 해남군 삼산면 대흥사길 400 (구림리 산8-1) 대흥사(大興寺)는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에 위치한 두륜산 도립공원 내의 절이다. 대한불교 조계종 제22교구 본사이다. 대둔사(大芚寺)라고도 불린다. 《만일암고기》(挽日菴古記)에 따르면 신라의 승려였던 정관(淨觀)이 서기 426년에 창건했다고 전해지며, 《죽미기》(竹迷記)에는 544년 아도화상이 창건한 것을 자장과 도선(道詵)이 중건했다고 되어 있다. 2009년 12월 21일 대한민국의 사적 제508호로 지정되었다. 대흥사는 고려 이전에 지어진 사찰로서, 임진왜란 이후 서산대사의 의발이 전수되면서 17~18세기 서산종의 종찰로 선·교 양종의 대도량 역할을 한 사찰이다. 경내에는 국보 제308호 대흥사 북미륵암 마..

한국의 절집 2023.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