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흥사 4

전남 무안. 초의선사 유적지(탄생지)

초의선사 현창사업 공덕비.  시다원(施茶院) 이곳에서는 차를 맛 볼 수 있으며 차에 대한 서적과 다구를 구입할 수 있다.그런데 이 날은 문이 잠겨있었다.    대각문을 들어서면 양편으로 차밭이 조성되어 있으며 다성사가 바로 보인다.그 뒤에 보이는 산이 봉수산. 과거에는 봉수대(봉화대)가 있었다 함.    초의선사 동상.    명선(茗禪) 碑와 기념비.    초의선사 추모비.    일지암.  일지암은 초의선사가 말년에 기거하며 손수 차(茶)를 일구던 다원(茶園)으로서 해남 두륜산 아래 있는 일지암을 본떠 지은 것이다.    일지암 현판.    세심헌(洗心軒)  초의선사가 말년에 지친 몸의 피로를 풀고 심란한 마음을 안정시키는 공간으로 사용했던 곳이다.   초의선사 기념관.    초의선사 초상.    초의선..

발길을 따라 2025.03.17

전남 강진. 고성사(高聲寺) 전남 유형문화재 제316호.

고성사 대웅전.  *주소: 전남 강진군 강진읍 남성리 353 (고성길 260)  전라남도 강진군 강진읍 보은산 기슭에 있는 절로 대한불교조계종 제22교구 본사인 대흥사의 말사이다. 1211년(고려 희종 7년) 원묘국사(圓妙國師) 요세(了世, 1163∼1245)가 강진 만덕산 백련사(白蓮寺)를 중창할 때 함께 지었으며 1805년(순조 5년) 강진군에 귀양 온 정약용(丁若鏞, 1762~1836)이 머물며 혜장(惠藏, 1772~1811) 스님과 교우한 곳으로 당시에는 고성암(高聲庵)으로 불리었으며, 정약용은 고성사에 보은산방(報恩山房)이라는 초막을 지어 머물렀다고 한다. 보은산(寶恩山, 해발 439m)은 산세가 소가 누워 있는 모습인데, 꼭대기는 소의 머리에 해당하는 우두봉(牛頭峰)이라 하고 이 절이 있는 곳..

한국의 절집 2024.07.26

전남 해남. 서산대사 사우. 표충사(表忠祠)

표충사 전경. 전남 해남군 삼산면 대흥사길 400. 주소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 산8-1. 전화 061-534-5502. 표충사(表忠詞)는 서산대사의 영정을 봉안한 사액사우(賜額寺宇)로서, 서산대사의 위국충정을 기리고 그의 선풍이 대흥사에 뿌리내리게 한 은덕을 추모하기 위해 1669년(현종 10)에 건립되었다. 정면 3칸, 측면 3칸의 주심포계 맞배건물로 장대석 기단 위에 자리한다. 건물 외부는 자연초석 위에 두리기둥을 세우고 그 전면에 2분합의 띠살문을 단장하였으며, 측면과 배면은 판벽으로 마감하였다. 어칸 상부에는 1789년(정조 13)에 정조대왕이 하사한 '표충사(表忠祠)' 편액이, 향우측 칸 위에는 '어서각(御書閣)'이란 편액이 있으며, 단조로운 채색의 단청으로 사당의 위엄을 갖추고 있다. 특히 표..

한국의 절집 2023.04.06

전남 해남. 천년고찰 대흥사(大興寺)

해남, 대흥사 일주문. *주소: 전남 해남군 삼산면 대흥사길 400 (구림리 산8-1) 대흥사(大興寺)는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에 위치한 두륜산 도립공원 내의 절이다. 대한불교 조계종 제22교구 본사이다. 대둔사(大芚寺)라고도 불린다. 《만일암고기》(挽日菴古記)에 따르면 신라의 승려였던 정관(淨觀)이 서기 426년에 창건했다고 전해지며, 《죽미기》(竹迷記)에는 544년 아도화상이 창건한 것을 자장과 도선(道詵)이 중건했다고 되어 있다. 2009년 12월 21일 대한민국의 사적 제508호로 지정되었다. 대흥사는 고려 이전에 지어진 사찰로서, 임진왜란 이후 서산대사의 의발이 전수되면서 17~18세기 서산종의 종찰로 선·교 양종의 대도량 역할을 한 사찰이다. 경내에는 국보 제308호 대흥사 북미륵암 마..

한국의 절집 2023.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