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서 2

전남 장흥. 진주정씨. 충렬사(忠烈祠)

진주정씨 충렬사(忠烈祠)   *주소: 전남 장흥군 용산면 용안로 503-209. (계산리 177-1)   장흥군 용산면 용안로 503-209 (계산리 177-1) 차동마을 뒤 수리봉(鳶峯 140m) 자락 수리골에는 충렬사가 위치한다. 이곳은 연곡서원, 강성서원과 함께 장흥군 내 3대 사액서원 중에 한곳으로 유서 깊은 사우(祠宇)이다.규모는 정면 3칸, 측면 1칸의 맞배지붕으로 외문 진강문(振綱門)이 있다. 원래의 사우(祠宇)는 임진왜란 때 순절한 충신 정명세(鄭名世: 1550~1593)와 그의 동생 충신 정명원(鄭名遠: 1559~1592)의 공덕을 기리기 위해 1683년(癸亥 숙종9) 지방 유림들의 공론에 따라 전라도 선유어사(宣諭御使) 이동욱이 장흥읍 충렬리에 석대사(石臺祠)를 건립하였다.  그 후 1..

발길을 따라 2024.12.16

전남 해남. 해남 향토유적 제2호. 여흥민씨 부조묘

해남 여흥민씨 부조묘. 海南 驪興閔氏 不조廟. 해남군 향토유적 제2호. *주소: 전남 해남군 마산면 은적사길 183-2 (장촌리 415) 여흥민씨 부조묘 안내문. 여흥민씨 부조묘(驪興閔氏 不조廟)는 민신(閔伸)과 그의 아들 민보창(閔甫昌)을 배향하고 있는 사당이다. 민신은 조선 초기의 무신으로 호(號)는 둔암(遯菴)이며 문종(文宗) 때 병조판서와 단종(端宗) 때 이조판서를 역임하였다. 김종서 등과 함께 단종을 보위(保衛)하다 피살되었다. 시호(諡號)는 충정(忠貞)으로 정조(正祖) 때 관작(官爵)이 회복, 신원(伸寃)되어 삼재신(三宰臣)이라는 애칭으로 불리고 있다. 부조묘는 원래 중국에서 시작되었으며 우리나라에 부조묘기 나타난 것은 고려 중엽 이후 사당을 지으면서부터이다. 우리 군(해남군)의 부조묘 중 국..

발길을 따라 2023.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