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은열 2

전남 강진. 도강김씨. 둔덕사(屯德祠) 강진군 향토문화유산 제15호.

강진 둔덕사(屯德祠)  강진군 향토문화유산 제15호. (2004년 11월 01일)   *소재지: 전남 강진군 도암면 덕촌길 70-13 (덕서리 436)  둔덕사 안내문.  도강김씨(道康金氏)의 시조 김희조(金希祖ㆍ?~1199)는 신라 경순왕(敬順王)의 넷째 아들 대안군(大安君) 김은열(金殷說)의 9세손이다. 고려 중엽 문과에 급제하여 좌복사(左僕射ㆍ상서도성에 속하였던 정2품 벼슬)ㆍ병부상서(兵部尙書)를 거쳐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이르렀고, 도강백(道康伯)에 봉해졌다. 이후 후손들은 그를 시조로 삼고 도강(道康)을 본관으로 하여 세계(世系)를 이어오고 있다.  하지만 시조 이후 세계(世系)가 실전(失傳)되어 그 계대(系代)를 확실히 밝히지 못하고 있으며, 다만 4명의 후손들에 의해 4개 파를 형성하여 세계..

문화재 탐방 2024.09.06

전남 강진. 강진군 향토문화유산 제15호. 둔덕사(屯德祠)

강진 둔덕사(屯德祠) 강진군 향토문화유산 제15호. (2004년 11월 01일) *주소: 전남 강진군 도암면 덕촌길 70-13 (덕서리 436) 둔덕사 안내문. 도강 김씨(道康 金氏)의 시조 김희조(金希祖ㆍ?~1199)는 신라 경순왕(敬順王)의 넷째 아들 대안군(大安君) 김은열(金殷說)의 9세손이다. 고려 중엽 문과에 급제하여 좌복사(左僕射ㆍ상서도성에 속하였던 정2품 벼슬)ㆍ병부상서(兵部尙書)를 거쳐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이르렀고, 도강백(道康伯)에 봉해졌다. 이후 후손들은 그를 시조로 삼고 도강(道康)을 본관으로 하여 세계(世系)를 이어오고 있다. 하지만 시조 이후 세계(世系)가 실전(失傳)되어 그 계대(系代)를 확실히 밝히지 못하고 있으며, 다만 4명의 후손들에 의해 4개 파를 형성하여 세계를 잇고 ..

문화재 탐방 2023.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