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이씨 4

전남 강진. 경주이씨. 구곡사(龜谷祠) 전남 유형문화재 제189호.

강진. 구곡사(龜谷祠)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89호.(1995년 12월 26일)   *소재지: 전남 강진군 대구면 구곡길 31 (구수리 895)  강진 구곡사 전경. *구곡사는 정문이 굳게 잠겨 있어 내부로 들어가지 못하고 외부 담장너머에서 촬영을 했다.   구곡사(龜谷祠)는 익재 이제현(1287∼1367)과 백사 이항복(1556∼1618)의 영정이 모셔져 두 분을 제사지내 온 사당이다.  구곡사에 소장된 두 영정은 필자나 제작연대가 밝혀져 있지 않으나 모두 18세기 이후에 추화된 이모작품으로 생각된다.  구곡사에 모셔진 두 영정 가운데 여말선초의 인물인 이제현의 영정에서는 여말 초상화의 한 유형을, 임진왜란 때의 공신인 이항복의 영정은 17세기 전반의 전형적인 공신도상의 형식을 보여주고 있어 비록 ..

문화재 탐방 2024.09.18

전남 영암. 경주이씨. 영호사(靈湖祠) & 망호정(望湖亭)

경주이씨. 영호사(靈湖祠) & 망호정(望湖亭)  영호사 입구에 표지석이 자리하고 있다.  *소재지: 전남 영암군 영암읍 망호리 497-1 (망호정길 33-1)   영호사 안내문. 영호사(靈湖祠)는 경주이씨 익재(益齋) 이제현(李齊賢: 1287~1367)과 이제현의 11세손인 월재(月齋) 이인걸(李仁傑: 1566~1593)을 배향한 사우(祠宇)이다. 이제현은 고려 말에 성리학을 들여와 발전시켰으며 예문 춘추관 등의 관직을 지냈다. 이인걸은 임진왜란 때 권율의 휘하 행주 대첩에서 공을 세우고 순절한 인물이다. 망호정(望湖亭)도 병조참판을 지낸 경주이씨 월재공(月齋公) 이인걸(李仁傑)의 손자 망호정(望湖亭) 이주남(李柱南)이 영산강을 바라보는 위치에 후학을 가르치는 강학소(講學所)인 망호정(望湖亭)을 1545..

발길을 따라 2024.04.26

전남 나주. 경주이씨. 영강사(榮江祠)

나주 영강사(榮江祠) 나주시 향토문화유산 제18호. *주소: 전남 나주시 영산동 39-8 (골모실길 6) 영강사(榮江祠)는 경주이씨 명현선조 6위를 향사(享祀)하는 사우(祠宇)로, 1712년(숙종38)에 창건하였다. 건립 당시에는 기묘명현 이해(己卯名賢 李蟹:1468~1525)와 조카 이영우(李永祐), 이해의 증손이자 효행으로 이름이 높던 이유경(李有慶:1543~1609) 3인을 배향하였다. 그 후 1722년에 강당을 지어 사우가 아닌 '서원'의 구색을 갖추었고, 1732년에는 이부(李부:?~1504)을 추배하였으며 1796년(정조 20) 후손 덕항(德恒)의 주력으로 동,서재 및 협문 창고를 새로 짓고 1805년(순조 5) 신실을 중수하였다. 한편 1818년(순조 18) 송계 유공신이 다시 추배되었는데 ..

문화재 탐방 2023.09.27

전남 영암. 경주이씨. 영호사(靈湖祠) & 망호정(望湖亭)

경주이씨. 영호사(靈湖祠) & 망호정(望湖亭) 영호사 입구에 표지석이 자리하고 있다. *소재지: 전남 영암군 영암읍 망호리 497-1 (망호정길 33-1) 영호사 안내문. 영호사(靈湖祠)는 경주이씨 익재(益齋) 이제현(李齊賢: 1287~1367)과 이제현의 11세손인 월재(月齋) 이인걸(李仁傑: 1566~1593)을 배향한 사우(祠宇)이다. 이제현은 고려 말에 성리학을 들여와 발전시켰으며 예문 춘추관 등의 관직을 지냈다. 이인걸은 임진왜란 때 권율의 휘하 행주 대첩에서 공을 세우고 순절한 인물이다. 망호정(望湖亭)도 병조참판을 지낸 경주이씨 월재공(月齋公) 이인걸(李仁傑)의 손자 망호정(望湖亭) 이주남(李柱南)이 영산강을 바라보는 위치에 후학을 가르치는 강학소(講學所)인 망호정(望湖亭)을 1545년(인종..

발길을 따라 2023.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