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국용신 3

격국의 중화(格局의 中和)

격국의 중화(格局의 中和) 사주명리학 기존의 學說은 日干의 抑扶만을 論하여 身弱하면 日主를 生助하고 身强하면 抑制나 洩氣하는 것으로 用神을 定한다. 그러나 이는 中和의 개념을 모르기 때문이다. 日干과 格局을 나누어 따로 强弱을 분별하여 日干이 强하고 格局이 弱하면 格局을 扶助하고 日干이 弱하면 반대로 格局을 剋洩하여 中和를 이루는 이치를 모르기 때문이다.​진정한 中和의 개념은 日干 自體의 抑扶를 의미하는 게 아니라 日干과 格局을 저울질하여 相互균형을 살피는 것이다.​그러니 抑扶法에서 用神이란 거듭 강조하지만 日干과 格局의 균형을 잡아주는 五行이 되는 것이다. 月令에서 格局이 透出했을 때는 일간(日干)과 월령용신(月令用神: 격국용신: 格局用神)과 同一한 資格으로 놓고 抑扶를 살펴야하고 日干과 月令이 同一한..

격국 이야기 2024.09.19

신살(神殺)의 활용에 대하여

신살(神殺)의 활용에 대하여 원국의 신살은 평생을 함께 살아가야 하는 것이니 車로 例를 든다면 옵션에 해당되는 부분이다.  합(合)과 충(沖)을 제외한 모든 것을 신살로 간주하니 기본적으로 신(神)은 좋은 順작용이고 살(殺)은 나쁜 逆작용을 하나 경우에 따라 길흉이 바뀌는 경우가 많다.  또한 命의 장식품이니 생극제화(生剋制化)를 통변한 후에 최종적으로 세밀하게 변(辯)을 할 때 신살을 활용해야지 신살을 먼저 활용하고 생극제화를 통변함은 무리가 있다. 명(命)에 土氣가 왕하고 공망(空亡)이면 큰 산에 터널이 난 형상이니 오행과 六神과 물상을 구분하여 활용한다. 대운과 세운의 신살도 활용할 수 있는데 만약에 양인운이 지나갔다면 그 방면에 전문가가 되어있음 알아야 한다.  인과관계와 사건사고도 신살에서 나오..

신살론 잡학 2024.08.13

격국과 억부법.

격국과 억부법. 격국용신과 억부용신의 통합적 운용의 핵심은 格局 상황에 따라서 格局과 日干을 抑扶하되 그 기준을 명확하게 제시함에 있다. 격국(月令)의 억부 = 월령(格局)이 透干된 경우 일간(日干)의 억부 = 월령(格局)이 透干되지 못한 경우 .= 월령과 일간이 同一한 경우 ​ ★월령(月令) 격국법(格局法)이란? 寅月生으로 月令의 本氣인 甲이나 乙이 天干에 透干된 경우. 예를 들면... 己 庚 丙 甲 丑 戌 寅 辰 寅月의 本氣인 甲木이 年上에 透出되어 偏財格이다. ★일간(日干)의 억부법(抑扶法)이란? 寅月生이 天干에 甲이나 乙이 透干되지 않은 경우는 月令 格局論으로 간주하지 않고 月令의 正氣만으로 格局을 잡으며 이때는 月令 格局法으로 四柱를 해석하는 것이 아니라 日主의 身强,弱을 기준하여 抑扶法으로 사..

명리학 연구 2023.0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