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국 이야기

종아격(從兒格)

백산. 2024. 10. 17. 05:00

종아격(從兒格)

 

사주의 전부 혹은 대부분을 食傷이 차지하고 있는 사주를 말한다.

식상은 사주명리학상 자식을 의미하므로 종아격이라 한 것이다.

 

종아격은 사주상 식상이 를 이루므로 서로 相剋이 되는 印星이 있거나

印星運을 기피하고 또한 官殺運도 기피한다.

 

사주에 가 있거나 財運으로 運路 하면 富貴하지 않는 사람이 없고

인물도 총명하고 학문의 조예도 깊다. 比劫運 財星 相剋이 되어

한 편이 아니다.

 

비견          비견   상관

  辛     辛     辛     壬

  卯     卯     亥     子

 편재 편재 상관  식신

 

상기 사주는 月干 時干 比肩이 있지만 地支에 뿌리를 박고 있지 못하니 하고

사주의 대부분을  食傷이 차지하고 있으니 "從兒格"이다.

 

고로 어려서 壬子, 癸丑 用神運이니 총명이 과인(過人)했다. 甲寅, 乙卯 大運

벼슬길이 순탄했고 丙辰대운에는 官殺 印星運이라 사망했다.

 

 

- 작성자 / 배동원 -

'격국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종격(假從格)  (0) 2024.10.22
종세격(從勢格)  (0) 2024.10.19
종재격(從財格)  (0) 2024.10.15
가상관격(假傷官格)이란?  (0) 2024.10.12
양신성상격(兩神成象格)이란?  (0) 2024.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