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천수 천간론(天干論)
甲木.
甲木參天. 脫胎要火. 春不容金. 秋不容土.
火熾乘龍. 水宕騎虎. 地潤天和. 植立千古.
갑목삼천. 탈태요화. 춘불용금. 추불용토.
화치승룡. 수탕기호. 지윤천화. 식립천고.
[번역]
甲木은 하늘로 치솟는 木이니 茂盛한 木이든 어린 木이든 火가 필요하다.
봄에는 金을 容納하지 아니하고 가을에는 土를 받아들이지 아니하고 火가 熾烈하면 辰을 타고 앉아야 하고 水가 넘쳐도 寅을 걸터앉으면 지윤천화(地潤天和)하여 곧게 千年을 서 있을 것이다.
[해설]
1. 甲木은 純陽의 木인데 旺盛하다면 하늘을 찌를 듯이 높이 솟을 수 있습니다.
2. 旺盛한 木이 火를 만나면 목화통명(木火通明)이라 하여 좋습니다.
3. 정월(寅月)에는 아직 추우므로 火가 필요하고 2월(卯月)에는 대단히 旺盛하므로 身旺하다고 하더라도 金을 用神으로 쓸 수 없습니다. 역시 火가 필요합니다.
여름에만 水가 필요하고 봄, 가을, 겨울 모두 火가 필요합니다.
4. 가을에는 土가 허박(虛薄)한데 木으로부터도 剋을 받으니 木의 뿌리가 되지 못하고 木이 傷합니다.
5. 만약 地支에 寅午戌 火局인데 天干에 丙,丁 火가 透出하여 燥熱하다면 甲木이 타버릴 것입니다. 이때는 地支에 辰土가 있어야 火氣를 洩하고 生木할 수 있다.
6. 만약 地支에 申子辰 水局인데 天干에 壬,癸 水가 透出하였다면 瀑流에 나무가 떠내려 갈 것인데 地支에 寅木이 있어야 뿌리가 되어 떠내려가지 않을 것입니다. 寅木은 丙火, 戊土를 所藏하고 있으며 甲木의 녹왕지(祿旺地)이기 때문입니다.
乙木.
乙木雖柔. 刲羊解牛. 懷丁抱丙. 跨鳳乘猴.
虛濕之地. 騎馬亦憂. 藤蘿繫甲. 可春可秋.
을목수유. 규양해우. 회정포병. 과봉승후.
허습지지. 기마역우. 등라계갑. 가춘가추.
[번역]
乙木은 비록 柔弱하나 未를 剋하고 丑을 解剖할 수 있으며 丁을 품고 丙을 안으면 酉를 걸터안고 申을 타고 앉을 수 있으며 虛濕之地에 있으면 午를 타고 앉아도 역시 근심되고 甲木이 함께 얽혀주면 봄도 좋고 가을도 좋다.
[해설]
1. 乙木도 甲木과 마찬가지로 여름에는 水를 필요로 하나 봄, 가을, 겨울에는 火가 필요합니다.
즉, 봄에는 나뭇잎이 나기 위해서는 火가 필요하며, 여름에는 乾燥한 땅을 潤澤하게 하기 위해 水가 필요하고 가을에는 金을 制壓하기 위해서 火가 필요하며, 겨울에는 얼어붙은 땅을 녹이기 위해서 火가 필요합니다.
2. 乙木日主가 丑未月에 生하였거나 乙丑, 乙未日主면 未는 乙木을 暗藏하고 있어 뿌리가 되고, 丑은 癸水를 暗藏하고 있어 乙木을 生해주니 유정(有情)합니다.
3. 乙木이 7,8월(申酉月)에 生하였거나 乙酉日에 生하였는데 丙,丁이 天干에 透出하였으면 金을 꺼리지 않습니다.
4. 乙木이 亥,子月에 生하였는데 壬,癸가 透出하였으면 비록 地支에 午火가 있더라도 生助를 받기 어렵습니다.
5. 乙木이 天干에 甲木, 地支에 寅木을 모두 가지고 있으면 서로 協助되어 四季節이 모두 평안합니다.
丙火.
丙火猛烈. 欺霜侮雪. 能鍛庚金. 逢辛反怯. 土衆成慈.
水猖顯節. 虎馬犬鄕. 甲木若來. 必當焚滅.
병화맹열. 기상모설. 능단경금. 봉신반겁. 토중성자.
수창현절. 호마견향. 갑목약래. 필당분멸.
[번역]
丙火는 猛烈하여 눈서리도 기만하고 업신여기며 庚金을 능히 製鍊할 수 있으나 辛金을 만나면 반대로 怯弱하고, 土가 많으면 慈悲를 베풀고, 水가 창궐하여도 충절을 나타내고, 寅午戌이 作局하였는데 甲木이 만약 오면 반드시 焚滅 당하게 된다.
[해설]
1. 丙火는 순양(純陽)의 火이므로 勢力이 猛烈하여 서리도 欺瞞하고, 눈과 얼음도 녹일 수 있습니다.
2. 丙火는 庚金을 극벌(剋伐)할 수 있습니다.
3. 丙火는 辛金을 만나면 오히려 누그러져 합(合)을 이룹니다.
4. 土가 많으면 아래 사람을 능멸하지 않고 자비를 베풉니다.
5. 水가 많아도 구차스럽게 윗사람의 비위를 맞추거나 도움을 바라지 않고 당당합니다.
6. 地支에 寅午戌 火局이 있는데 甲木이 天干에 透出하였으면 오히려 甲木이 불타버립니다.
-. 丙火는 己土(濕土)를 만나야 그 氣運을 설기(洩氣)할 수 있습니다. 戊土는 丙火에 볶여버립니다.
-. 丙火는 壬水를 만나야 制壓될 수 있습니다. 만약 癸水가 오면 蒸發되어 버립니다.
-. 丙火가 횡포하면 辛金으로 合化하는 것도 좋습니다. 丙辛合은 水가 되어 상제(相濟)의 功을 이룹니다.
丁火.
丁火柔中. 內性昭融. 抱乙而孝. 合壬而忠.
旺而不烈. 衰而不窮. 如有嫡母. 可秋可冬.
정화유중. 내성소융. 포을이효. 합임이충.
왕이불열. 쇠이불궁. 여유적모. 가추가동.
[번역]
丁火는 부드럽고 中庸을 지키니 그 性品이 밝고 지혜로우며, 乙을 만나면 孝道하고, 壬과 合하여 忠誠하고, 旺하여도 치열하지는 아니하고, 衰弱하여도 困窮하지 않으며, 甲만 있으면 가을도 좋고 겨울도 좋다.
[해설]
1. 丁火가 乙木을 만나면 辛金으로부터 乙木을 보호합니다. 따라서 孝道한다고 한 것입니다.
2. 丁火가 壬水를 만나면 木으로 化합니다. 따라서 戊土가 壬水를 剋할 경우 丁火가 戊土로부터 壬水를 보호하게 됩니다. 壬水는 丁火에 대하여 官星이니 忠誠한다고 한 것입니다.
3. 丁火는 柔順하고 中庸의 德이 있어 旺盛하더라도 지나치지 않고, 衰弱하더라도 없어지지는 않습니다.
4. 丁火는 甲,乙 木이 透出하였으면 가을에도 金이 두렵지 않고, 地支에 寅,卯가 있으면 겨울에도 두렵지 않습니다.
戊土.
무토고중. 기중차정. 정흡동벽. 만물사명.
수윤물생. 화조물병. 약재간곤. 파충의정.
戊土固重. 旣中且正. 靜翕動闢. 萬物司命.
水潤物生. 火燥物病. 若在艮坤. 파沖宜靜.
[번역]
戊土는 堅固하고 厚重하여 이미 中庸을 지키고 또 바르며, 고요하면 닫아 안으로 감추고 움직이면 활짝 열어 萬物의 명(命)을 맡는다.
水가 潤澤하면 萬物을 發生시키고 火로써 燥熱하면 萬物이 病들게 되며, 만약 艮坤(寅申)이 있으면 沖을 두려워하고 安定되기를 원한다.
[해설]
1. 봄, 여름의 戊土는 氣運이 動하므로 열어서 發生시키고, 가을, 겨울의 戊土는 氣를 안으로 닫아 收藏시키는 일을 하므로 萬物의 司命이라 한 것입니다.
2. 戊土는 조토(燥土)이니 봄, 여름에는 燥熱하여 水로 潤澤하게 하여야 萬物을 發生시킬 수 있는데 만약 水가 없어 燥熱하다면 萬物이 病들게 된다는 것입니다.
3. 戊土가 가을, 겨울에 生하면 水가 많은 季節이니 火로써 溫暖하게 하여야 萬物을 成熟시킬 수가 있는데 만약 火가 없고 濕만 있다면 萬物을 얼고 病들게 합니다.
4. 艮坤은 낙서(洛書)의 艮方, 坤方을 말하는데 地支로는 寅,申이 됩니다. 戊土는 寅月에는 剋을 받으니 마땅히 安定하여야 하고 沖이 있으면 안됩니다. 申月에도 洩氣가 심하여 弱해지니 安定하여야 하고 沖動하면 안됩니다.
5. 사계월(四季月, 換節期, 3,6,9,12月)에는 土가 旺하니 氣運을 疏通시키려면 庚,辛,申,酉 金이 좋습니다.
己土.
己土卑濕. 中正畜藏. 不愁木盛. 不畏水狂.
火少火晦. 金多金光. 若要物旺. 宜助宜幇.
기토비습. 중정축장. 불수목성. 불외수광.
화소화회. 금다금광. 약요물왕. 의조의방.
[번역]
己土는 卑濕하고 中正을 지키며 안으로 蓄藏하기 때문에 木이 旺盛한 것을 근심하지 아니하고 水가 狂奔함도 두려워하지 아니하고, 火가 적으면 火를 가려버리고 金이 많으면 金을 빛내고 만약 萬物이 旺盛하면 生助할 것은 生助하고 幇助할 것은 幇助하는 것이 重要하다.
[해설]
1. 己土는 음습(陰濕)한 土입니다.
2. 己土는 그 性情이 柔順하여 和睦하므로 木을 도우니 木의 剋을 받지 않습니다.
3. 己土는 水를 받아들일 수 있기 때문에 水를 두려워하지 않습니다.
4. 己土는 陰濕하기 때문에 丁火가 弱하면 丁火의 빛을 가려버립니다(어둡게 한다).
5. 己土는 辛金이 있으면 辛金을 生하여 潤澤하게 만들어 줍니다.
6. 사주에 土의 뿌리가 튼튼하고 丙火를 만나면 丙火가 陰濕한 土의 氣運을 除去해 주니 萬物을 滋生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갖추었으니 印綬건, 比劫이건 모두 좋다.
庚金.
庚金帶煞. 剛健爲最. 得水而淸. 得火而銳.
土潤卽生. 土乾卽취. 能瀛甲兄. 輸于乙妹.
경금대살. 강건위최. 득수이청. 득화이예.
토윤즉생. 토건즉취. 능영갑형. 수우을매.
[번역]
庚金은 살(煞)을 帶同하였으므로 剛健함이 가장 앞선다. 水를 得하면 淸할 수 있고, 火를 得하면 예리하고, 土가 潤澤하면 生하고, 土가 건조해지면 취약하게 된다. 甲兄을 능히 풀어 헤뜨릴 수 있고, 乙 누이에게는 정성을 다한다.
[해설]
1. 庚金은 숙살지기(肅殺之氣)이니 剛健합니다.
2. 庚金은 壬水를 만나면 살기(煞氣)를 설(洩)하게 되므로 청(淸)해집니다.
3. 庚金은 丁火를 만나면 예리해지니 화로에 연장을 달구어 만드는 것과 같습니다.
4. 庚金이 봄여름에 生하면 弱하니 地支에 辰,丑 濕土를 만나야 生하며, 未,戌 燥土를 만나면 脆弱해집니다.
5. 庚金은 甲木을 만나면 극벌(剋伐)해 버립니다.
6. 庚金은 乙木을 만나면 다정하여 合합니다.
만약 乙庚 合이나 化하지 않으면(合而不化) 庚金은 나약하게 되고 乙木은 庚金의 난폭함을 돕게 됩니다.
辛金.
辛金軟弱. 溫潤而淸. 畏土之疊. 樂水之盈.
能扶社稷. 能救生靈. 熱卽喜母. 寒卽喜丁.
신금연약. 온윤이청. 외토지첩. 낙수지영.
능부사직. 능구생령. 열즉희모. 한즉희정.
[번역]
辛金은 軟弱하다. 溫潤하면 淸하고 土의 重疊되는 것을 무서워하고 水가 많은 것을 좋아한다. 능히 社稷을 붙잡아주고 능히 生靈을 救한다. 열(熱)이 많으면 土를 좋아하고 추우면 丁을 기뻐한다.
[해설]
1. 辛金은 귀금속과 같이 깨끗하고 潤澤하여 좋은 것입니다.
2. 辛金은 戊土가 重疊함을 꺼립니다. 土多金埋이니 辛金이 묻히기 때문입니다.
3. 辛金은 壬水를 좋아합니다. 辛金을 潤澤하게 하기 때문입니다.
4. 戊土가 壬水를 극하는데 丙火가 있으면 이 戊土를 돕게 됩니다.
그러나 辛金이 있으면 丙火와 合이 되어 水가 되니 丙火로 하여금 戊土를 돕지 못하게 하고 水로 化하여 壬水를 돕습니다. 따라서 사직을 붙든다고 하였습니다.
5. 辛金은 旺盛한 丙火가 甲木을 불태우는 것을 구원합니다. 丙火와 合이 되어 水로 化하니 甲木을 生합니다. 따라서 生靈을 구원한다고 하였습니다.
6. 辛金이 여름에 生하여 火가 많더라도 己土만 있으면 火氣를 洩하여 生金합니다.
7. 辛金이 겨울에 生하여 水가 많더라도 丁火만 있으면 水의 濕氣를 흡수하고 養金합니다.
壬水.
壬水通河. 能洩金氣. 剛中之德. 周流不滯.
通根透癸. 沖天奔地. 化卽有情. 從卽相濟.
임수통하. 능설금기. 강중지덕. 주류불체.
통근투계. 충천분지. 화즉유정. 종즉상제.
[번역]
壬水는 江河에 通한다. 능히 金氣를 洩氣시키고 强한 中庸의 德이 두루 흘러 멈추거나 沮滯되지 아니하고 癸水를 透出시켜 通根하였으면 하늘을 衝激하고 땅을 달린다. 化하면 有情하고 從하면 함께 나란히 산다.
[해설]
1. 壬水는 坤方의 天河. 즉 申에서 生하니 따라서 庚金의 氣運을 疏通시킵니다.
2. 만약 地支에 亥,子가 있고 天干에 癸水도 透出하였으면 그 瀑流를 土로서 막을 수 없으니 木으로 洩氣해야 합니다.
3. 水가 旺盛할 때 丁火가 있어 合하면 木으로 化하고 다시 丁火를 生하니 相生의 묘용(妙用)이 됩니다.
4. 壬水가 여름에 生하였고 火旺하다면 壬水라도 어쩔 수 없이 火로 從해야 하고 만약 土旺하다면 土로 從해야 하니 이렇게 되면 造化되어 相濟의 功을 이루게 됩니다.
癸水.
癸水至弱. 達于天津. 得龍而運. 功化斯神.
不愁火土. 不論庚辛. 合戊見火. 化象斯眞.
계수지약. 달우천진. 득룡이운. 공화사신.
불수화토. 불론경신. 합무견화. 화상사진.
[번역]
癸水는 지극히 弱하나 하늘 끝에 도달하고 辰을 만나고 운전하면 그 神을 變化시키는 功이 있다. 火,土를 무서워하지 아니하고 庚,辛에 相關없이 戊와 合하면 火를 나타내고 이때의 화상(化象)은 참된 것이다.
[해설]
1. 癸水는 순음(純陰)의 水로 매우 弱하고 정(靜)합니다.
2. 癸水는 윤토양금(潤土養金, 土를 윤택하게 하고 金을 生함)합니다.
3. 癸水는 地支에 辰土를 만나면 化합니다.
4. 癸水는 火,土를 많이 만나면 從해 버립니다.
5. 癸水는 庚,辛 金을 洩氣시킬 수 없으니 탁수(濁水)가 됩니다.
6. 癸水는 戊土를 만나면 合하여 火가 되니 丙,丁 火가 透出하였다면 진정한 合化格이 됩니다.
- 적천수 -
'명리학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주론(日柱論) (2) | 2024.06.13 |
---|---|
적천수 십간론(十干論) (2) | 2024.06.11 |
명리학의 역사. (0) | 2024.06.06 |
십간조후론, 계수(十干調候論, 癸水) (0) | 2024.06.04 |
십간조후론, 임수(十干調候論, 壬水) (0) | 2024.0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