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국론(合局論)
천간과 지지가 재조명됨에 있어서, 고전 명리학과 괴리가 적으니 여기서 논한다.
(명리학의 구성을 이 자료만으로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적고자 한다.)
천간(天干) : 시간 象 氣 (결과) 정신 외부적
지지(地支) : 공간 形 質 (진행) 환경 내부적
▶통근(通根) : 時間과 空間이 一致하여야 사건이 생긴다. 子平진전에서 長官이 地方官職에 赴任함을 의미.
결과의 속도 : 燥熱(동적) - 빠름. 寒濕(정적) - 느림.
*수직작용(氣) : 정신적. 이론 목적 (학문). 三合. 甲 丙 戊 辛 癸
(十干의 상대적인 평가)
*수평작용(質) : 물질적. 현실 목적 (재주). 方合. 乙 丁 己 庚 壬
年 : 과거. 사주 전체의 기준. - 회사.
月 : 현재. 년의 형상, 일의 현실. - 부서.
日 : 지금. 나의 기준. - 나의 자리.
時 : 미래. 희망. 내면. - 희망하는 자리.
▶체(體) : 일간(日干).
체->용 : 월령. 일간이 쓰는 지지.
용(체)->격(용) : 월령이 천간에 투출하면 격이 완성. 월령이 쓰는 천간.
격(체)->용신(용) : 성격을 위해 쓰는 天干 or 地支 (통근하여야 결과가 나타남.)
억부용신(병약, 통기, 통관) : 격을 이루기 위해 직접적으로 쓰는 용신.
조후용신(火, 水) : 지지공간의 활용을 위해 쓰는 용신.
조후용신이 충족되지 못하고 抑扶用神을 충족했다면 환경에 대한 강한 투쟁을 보여준다.
亥寅巳申 : 生地로서 시작. 生은 잘하나 剋은 잘 못함. 시작하러 가는 것.
卯午酉子 : 旺支로서 현실. 剋은 잘하나 生은 잘 못함. 끌어들이는 것.
未戌丑辰 : 墓地로서 中氣 갈무리(저장). 餘氣는 衰함. 시공간적 의미.
▶삼합(三合) (氣)
半合은 半局으로 평가(旺支는 반드시 있을 것). 半局인데 天干에 부족한 地支의 五行이 있으면 代替가능.
亥卯未 : 목국. 寅午戌 : 화국. 巳酉丑 : 금국. 申子辰 : 수국.
▶방합(方合) (質 세력)
3地支가 모이면 合(勢力)의 의미. 旺支가 月令을 장악하고 合을 이루며, 天干에 勢力의 五行이 있으면 化하여 局을 이룸.
寅卯辰 : 목국. 巳午未 : 화국. 申酉戌 : 금국. 亥子丑 : 수국.
▶육합(六合)
子丑(토) : 丑이 子를 현실로 끌어들이는 것. 子의 위장잠입. 土밖에 안 보이는 현상.
寅亥(목) : 亥가 寅을 현실로 끌어들이는 것. 亥의 적극적 생寅.
卯戌(화) : 卯가 戌을 현실로 끌어들이는 것. 卯가 戌을 소토하여 丁火를 본다.
辰酉(금) : 酉가 辰을 현실로 끌어들이는 것. 辰의 생금.
巳申(수) : 申이 巳를 현실로 끌어들이는 것. 申의 적극적인 생수.
午未(변하지 않음) : 午未 모두 현실. 세력으로서 끄는 힘.
沖刑破害는 合으로 풀린다. 그리고 刑破害는 秀氣오행이 잘 흐르면 해결된다.
▶충(沖) (방위로서 剋)
寅申 卯酉 辰戌 巳亥 午子 未丑
▶형(刑) (三合-方合) 三刑은 하나의 勢力으로서 의미가 크다.
亥卯未 - 亥子丑 (수생목. 목이 중도를 잃고 수가 다침.)
申子辰 - 寅卯辰 (수생목. 목이 중도를 잃고 수가 다침.)
寅午戌 - 巳午未 (화가 중도를 잃음)
巳酉丑 - 申酉戌 (금이 중도를 잃음)
▶파(破) (삼합-삼합)
申子辰 - 巳酉丑 (金生水로 水가 過하고 金의 洩氣가 심함.)
寅午戌 - 亥卯未 (木生火로 火가 過하고 木의 洩氣가 심함.)
▶해(害) (六合에서 沖하는 地支)
子未 : 子가 未에 잡히는 형상. 수원(金)이 긴요.
丑午 : 午가 丑에 잡히는 형상. 木의 疎土가 긴요.
寅巳 : 寅이 巳로 인해 洩氣가 심한 형상(타버림). 濕土가 긴요.
卯辰 : 濕氣로 인해 쓸모없이 변한 땅과 나무. 火로 水의 洩氣가 긴요.
申亥 : 申이 亥로 인해 설기가 심한 형상(침금). 土作用이 긴요.
酉戌 : 酉가 戌에 잡히는 형상. 木의 疎土가 긴요.
▶원진(怨嗔)
丑午 : 濕한 것이 문제.
辰亥 : 濕한 것이 문제.
巳戌 : 燥한 것이 문제.
寅酉 : 燥한 것이 문제.
'신살론 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형충회합 작용력. (0) | 2024.03.16 |
---|---|
형충회합 재정리 (1) | 2024.03.14 |
신살론 정리 (2) (1) | 2023.12.19 |
신살론 정리 (1) (0) | 2023.12.16 |
쌍진살(雙辰殺) (0) | 2023.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