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문관살(鬼門關殺) : 집착과 편집.
이 살이 있는 者는 신경쇠약에 잘 걸려 신경통으로 呻吟함이 많은데 殺旺한 즉 精神異狀에 걸려본다.
이 殺은 년지를 기준으로 하여 생일지 해당하면 작용한다.
@귀문관살 구성표.
子酉. 丑午. 寅未. 卯申. 辰亥. 巳戌.
즉, 子年에 酉日, 酉年에 子日. 이런 식으로 풀이하면 된다.
@원진살 구성표.
子未. 丑午. 寅酉. 卯申. 辰亥. 巳戌.
귀문관살은 도표로 보면 원진과 사촌간이다.
그런데 그 양상은 원진과 다르게 나타난다.
원진이 사람과 사람 사이에 많이 나타난다면, 귀문관살은 스스로 내면에서 일어나는 현상이 많다.
귀문관살은 그 기준이 日支이다. 日支를 기준으로 붙어 있어야 귀문관살이 성립하다.
그런데 귀문관살이 있다고 해서 무조건 귀문관살이 작용하는 것은 아니다.
귀문관살이 작용하려면, 日干이 極弱하거나, 調候가 안 되어있을 때, 水火가 相戰하거나 金木을 相剋할 때, 또는 印星이 弱하거나 깨져 있을 때 귀문관살이 작용한다.
이것이 원진과 다른 점이다.
귀문관살이 있으면 내면에서 집착이 강하게 발동하거나 편집증세가 나타난다.
한 가지 일에 몰두하고 집착한다. 감성과 이성이 교차하다가 뒤섞여버린다.
증오가 발생하기도 하고 복수심이 발동하기도 한다. 과거에 집착하거나 일방적인 이야기에 집중한다.
이러한 현상을 두고 일부에서는 신이 들렸다고 말한다. 따라서 두려워한다.
하지만 무조건 나쁜 것은 아니다. 공부하는 학생이라면, 혹은 집중력을 필요로 하는 직종이라면 의외로 큰 성과를 거둘 수 있다.
귀문관살은 怨嗔과 비슷하지만, 寅未와 子酉만 다르다. 도표로 만들면 다음과 같다.
위의 도표에서 보면 알 수 있지만, 원진살과 유사하지만, 寅酉 원진과 子未 원진은 寅未 귀문관살, 子酉 귀문관살로 교차하며 바뀐다.
子酉 혹은 酉子 귀문관살은 동자 귀신 처녀귀신과 관련이 있다. 공주병, 왕자병의 증세를 보인다. 아이같이 응석을 잘 부린다. 자기 일이나 취미에 몰두한다. 신앙을 가지는 것이 좋다.
丑午 혹은 午丑 귀문관살은 객사한 귀신과 관련이 있다. 갑자기 성질을 폭발한다. 가까운 사람이나 집안사람에게 폭력적이다. 자기가 화를 내놓고 자기 스스로 참지 못하여 자살을 기도하기도 한다. 여자보다 남자에게 더 많이 나타난다.
寅未 혹은 未寅 귀문관살은 나이 먹은 귀신과 관련이 있다. 점잖은 척한다. 이름을 부르면 한참 있다가 천천히 대답한다. 자기 내면에 몰두한다.
卯申 혹은 申卯 귀문관살은 장군귀신이나 도화살 귀신과 관련이 있다. 상대를 무시하고 제 잘난 체만 한다. 허풍이 심하다. 심하면 과대망상 증세를 보인다. 머리 회전이 빨라진다.
辰亥 혹은 亥辰 귀문관살은 처녀귀신, 애 낳다가 죽은 귀신과 관련이 있다. 한이 많고 앙칼지다. 사납고 히스테리하다. 대인기피증 혹은 결벽증이 나타난다. 주로 여자들에게 많이 나타난다.
巳戌 혹은 戌巳 귀문관살은 도사 귀신과 관련이 있다. 능구렁이 같고 음흉하다. 고집이 세다. 자기 주장이 강하다.
그런데 앞서도 말했지만, 귀문관살을 다른 각도에서 보면 매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편집증은 달리가 엉뚱한 사물들을 배치하거나 조합하여 새로운 상상력을 보여주듯이, A와 B를 융합하는 능력으로 발전할 수 있으며, 연구하는 사람이라면 하나의 일에 몰두하여 의외의 성과를 얻을 수도 있다.
또 매일 빈둥빈둥 놀며 공부를 하지 않던 아이가 갑자기 공부에 몰두하며 성적을 향상시키기도 한다.
왜? 이 귀문관살은 집착, 집중, 편집 등과 관련하여 머리회전을 매우 빠르게 되면서 사물과 사물을 연계하여 생각하는 능력이 발동하기 때문이다.
명리학에서 그 어떤 것도 무조건 나쁜 것은 없다. 그 이면을 보면 오히려 유익하게 활용할 수 있는 것들이 많다. 흉은 버리고 길은 취하는 것이 명리의 도(道)이다.
- 웹사이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