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피향정(披香亭)
보물 제289호.
(1963.01.21)
*주소: 전북 정읍시 태인면 태창리 102-2번지 (태산로 2951)

호남 제일정(湖南 第一亭)
자연을 벗삼아 쉼터로 사용하고자 지은 피향정은 호남지방에서 으뜸가는 정자 건축이다.
통일신라 헌안왕(재위 857∼861) 때 최치원이 세웠다는 이야기가 있지만 지은 시기는 확실하게 알 수 없다.
기록에 따르면 조선 광해군 때 현감 이지굉이 다시 짓고 현종 때 현감 박숭고가 건물을 넓혔으며, 지금 크기로는 숙종 42년(1716) 현감 유근(柳近)이 넓혀 세웠다고 한다. 그 뒤에도 몇 차례 부분적으로 고쳤는데 단청은 1974년에 다시 칠한 것이다.
규모는 앞면 5칸·옆면 4칸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짜은 구조는 새 부리가 빠져나온 것처럼 꾸민 형태로 간결한 구조를 하고 있다.
건물 4면이 모두 뚫려 있어 사방을 바라볼 수 있고 난간은 짧은 기둥을 조각하여 주변을 촘촘히 두르고 있다.
건물 안쪽 천장은 지붕 재료가 훤히 보이는 연등천장이지만 천장 일부를 가리기 위해 건물 좌우 사이를 우물천장으로 꾸민 점이 눈길을 끈다.
또한 이 누정을 거쳐간 시인과 선비들의 시가(詩歌)를 기록한 현판이 걸려 있어 건물의 품격을 더하고 있다.
조선시대 대표가 되는 정자 중 하나로 조선 중기의 목조건축 양식을 잘 보여주고 있어 건축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되는 문화재이다.
- 우리 지역 문화재 -

피향정(披香亭)

피향정 중수시.

피향정 중수기.





피향정 안내판.

피향정 안내문.

피향정(披香亭)

피향정(披香亭)

함벽루(涵碧樓)
*다녀온 날: 2019.11.03.
'문화재 탐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남 곡성. 전남 문화재자료 제167호. 영류재(永類齋) (0) | 2022.09.30 |
---|---|
전남 곡성. 전남 문화재자료 제120호. 덕산사(德山祠) (2) | 2022.09.26 |
전남 곡성. 전남지방기념물 제56호. 덕양서원(德陽書院) (0) | 2022.09.23 |
전남 곡성. 전남 문화재자료 제29호. 도동묘(道東廟) (1) | 2022.09.20 |
전남 곡성. 전남 문화재자료 제129호. 수성당(壽星堂) (2) | 2022.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