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례상 표준화 방안.
성균관유도회총본부 회장인 최영갑 의례정립위원회 위원장은
5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이 같은 내용의 ‘차례상 표준화 방안’을 발표했다.
표준안에 따르면
간소화한 추석 차례상의 기본 음식은
송편, 나물, 구이(적·炙), 김치, 과일, 술 등 6가지다.
여기에 조금 더 올린다면
육류, 생선, 떡을 놓을 수 있도록 안내했다.
하지만 가지 수가 적어도 상관없고
가족들이 서로 합의해 결정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서울경제 보도에 의하면,
성균관 측은 기름에 튀기거나 지진 음식을 차례상에 꼭 올리지 않아도 된다고 밝혔다.
노력과 시간을 쏟으며 고생했던 전(煎) 부치기를 더는 할 필요가 없다는 얘기다.
기름진 음식에 대한 기록은 사계 김장생 선생의 ‘사계전서’ 제41권 의례문해에 나온다.
밀과나 유병 등 기름진 음식을 써서 제사 지내는 것은 예가 아니라고 했다고 성균관 측은 소개했다.
질문> 전통 제례의 격식을 떠나 고인의 살아생전에 즐겨 드시던 밥과 김치, 토마토, 과자 등으로 차례상을 차려드리고 싶습니다. 예법이나 격식은 어떤가요?
답변> 사계전서 제41권 의례문해 (사계 김장생) 보면 ‘살아 계실 때 먹지 않았던 물품으로는 제사 지내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해 주신 기록이 있습니다. 고인께서 생전에 즐겨 드신 음식을 올리는 것이 예법에 어긋났다고 할 수 없습니다. 뿌리를 생각하시는 여러분의 마음으로 정성스럽게 차례상을 준비하시면 좋을 듯합니다.
- 서울경제 2022년 9월 5일 보도자료 -
'유익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월 삼짇날. (0) | 2025.03.29 |
---|---|
태극기를 만든 사람은 누구일까? (0) | 2024.08.15 |
알기 쉬운 조문 예절 방법 (0) | 2024.04.16 |
여인에 대한 사자성어 (0) | 2024.02.29 |
무속(巫俗)과 속신(俗信) (1) | 2023.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