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함허정(涵虛亭)
전라남도 시도유형문화재 제160호.
(1988.03.16 지정)
함허정(涵虛亭)은 광주,전남 관광협회와 무등일보가 2004년에 공동으로 선정한
풍광이 수려하고 유서 깊은 8대 정자에 선정된 하나의 정자이다.
*주소: 전라남도 곡성군 입면 제월군촌길 53.
함허정을 세운 제호정 심광형 선생 (沈光亨, 1510~1550)은 어떤 분일까요.
출신부터 알아보겠습니다.
심광형 선생이 탄생한 집안 청송심씨 가문은 청주한씨와 더불어 조선 시대를 통틀어
가장 많은 정승 판서를 배출한 명문가입니다.

곡성 함허정(谷城 涵虛亭) 안내판.
조선 중종 38년(1543) 심광형이 이 지역 유림들과 풍류를 즐기기 위해 지은 정자로 일명 '호연정'이라고도 한다.
증손자 심민각이 오래된 정자를 옛 터 아래쪽으로 옮겨 다시 지었으며 5대손 심세익이 고쳤다. 지금 있는 건물은 1980년에 수리를 한 것이다.
앞면 4칸·옆면 2칸 규모로 지붕은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구성은 마루 1칸을 3면을 터 만들었고 2칸 반은 방으로 꾸몄다. 나머지 오른쪽 반 칸은 바닥을 한 단 높여 쪽마루를 두었다.
정자 아래로 흐르는 섬진강, 울창한 숲, 멀리 무등산이 보이는 경치 좋은 곳에 자리잡고 있으며 약 100m 가량 떨어진 곳에 심광정이 세운 군지촌정사(중요민속자료 제155호)가 있다.
당대 학문을 익히던 선비들의 수양지와 휴식처를 빼어난 경치와 함께 감상할 수 있는 곳이다.
- 우리 지역 문화재 -


함허정 현판.

관리가 다소 부족한 듯하다.

함허정 시문 현판.

함허정 시문 현판.


함허정.

연자방아.
함허정 입구에서 연자방아를 볼 수 있다.

함허정 꽃길 안내판.
*다녀온 날: 2018년 4월 14일.
'문화재 탐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남 강진. 여택정(麗澤亭)과 강회정(講會亭) (0) | 2022.12.26 |
---|---|
전남 강진. 창녕조씨. 효정재(孝亭齋)와 대계사(大鷄祠) (0) | 2022.12.24 |
충남 서산. 사적 제116호. 해미읍성(海美邑城) (0) | 2022.12.20 |
충남 홍성. 충남 기념물 제5호. 성삼문 선생 유허지 (0) | 2022.12.19 |
충남 홍성. 충남 문화재자료 제164호. 성삼문 선생 유허비. (0) | 2022.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