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도여관(구, 보성여관)
등록문화재 제132호.
*주소: 전남 보성군 벌교읍 태백산맥길 19.
조정래 작가의 대하소설, '태백산맥' 속 '남도여관'이란 이름으로 더 친숙한 '보성여관'은 소설에서처럼 해방 이후부터 한국 전쟁까지의 시대적 상황을 기억하는 근현대 삶의 현장이며, 역사적으로 중요한 기억의 장소이다. 소설의 배경이 되었던 그 시절, 이 건물은 여관이었고, 그때의 실제 상호는 '보성여관'이었다.
당시 교통의 중심지였던 벌교는 일본인의 왕래가 잦아지며 유동인구가 증가했고, 그 역사의 중심에 있던 '보성여관'은 당시의 5성급 호텔을 방불케 할 정도의 규모였다고 한다. 근현대 벌교의 역사문화환경을 형성하는 중요한 거점으로서의 역할을 했던 '보성여관'은 2004년 역사 및 건축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등록문화재 제132호로 지정되었다.
2008년 문화유산국민신탁은 보성여관의 관리단체로 지정되었으며, 2년간의 복원사업을 거쳐 2012년 6월 7일 예전 모습을 되찾은 '보성여관'을 새롭게 개관하게 되었다. 새롭게 복원된 보성여관은 벌교와 보성여관의 역사를 담고 있는 전시장과 차와 음료를 마실 수 있는 휴식공간인 카페, 다양한 문화체험의 공간인 소극장, 그리고 소설 속 남도여관을 느낄 수 있는 숙박동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2층은 다다미방으로 다목적 문화체험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 보성여관 -
남도여관(구, 보성여관) 안내문.
현재 숙박업과 카페를 운영하고 있다.
소설 '태백산맥' 속에 보성여관에 대한 기록들.
벌교이야기.
숙소.
2층 구조로 되어있는 건물.
2층으로 올라가는 입구 계단.
남도여관 입구에 운영 중인 찻집.
*2015.11.22.
'문화재 탐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남 보성. 문형식 가옥(文瀅植 家屋) 중요민속문화재 제156호. (0) | 2025.04.23 |
---|---|
전남 보성. 열화정(悅話亭) 중요민속문화재 제162호. (0) | 2025.04.21 |
전남 무안. 성남리 석장생. 전남 민속문화재 제25호. (0) | 2025.03.26 |
전남 무안. 행주기씨. 도산사(桃山祠) 향토문화유산 제6호. (0) | 2025.03.12 |
전남 무안. 동암묘(東巖廟) 향토문화유산 제5호. (0) | 2025.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