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에서 경험한 급각살의 흉의(凶意)
아래 급각살에 대한 설명은 임상에서 실제 경험한 바를 올리니 임상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급각살(急脚殺)은 일명 건각살(蹇脚殺)이라 하며 이 살이 命造에 있게 되면 팔이나 다리에 장애를 겪을 수 있다.
급각살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춘절(1,2,3월): 亥子.
하절(4,5,6월): 卯未.
추절(7,8,9월): 寅戌.
동절(10,11,12월): 丑辰
즉, 봄철(春節) 1,2,3월에는 해(亥)나 자(子)가 生日이나 生時에 있으면 급각살에 해당하는데 형충(刑沖)이나 合을 이루게 되면 더욱 강하게 나타난다 할 수 있다.
아래 例示를 참고하기 바랍니다.
여명.
@ @ 庚 丁
戌 未 戌 卯
이 명조는 가을철 戌月에 生時의 戌土가 급각살에 해당하는데 日支 未와 刑을 이루어 유년시 소아마비로 인하여 다리를 절고 있다.
남명.
@ @ 癸 甲
戌 辰 酉 午
이 명조는 가을철 酉月에 生時의 戌土가 급각살에 해당하는데 日支의 辰과 沖을 형성하니 어려서 소아마비로 다리를 절고 있다.
여명.
@ @ 戊 丙
寅 申 戌 辰
이 命造도 가을철 戌月에 태어나 生時의 寅木이 급각살에 해당하는데 日支 申金과 沖을 형성하여 소아마비로 다리를 절고 있다.
남명.
@ @ 癸 壬
亥 卯 卯 戌
본 명조는 봄철에 태어난 亥時生으로 日支 卯木과 合을 이루어 幼兒시기에 보행기를 타고 놀다가 넘어져 우측 팔이 골절되어 깁스를 해보았으며, 그 후, 20대 시절에는 축구를 하다가 우측다리에 부상을 입어 6개월 이상 병원을 찾아다니며 치료하느라 많은 고생을 경험했다.
*참고로 위 4명의 명조를 비교해보면 急脚殺이 刑沖이 되면(丁卯生, 甲午生, 丙辰生) 凶意가 重하고 合이 되면(壬戌生) 다소 가볍게 나타나는 것 같다.
'명리학 실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강격 여명. (0) | 2025.03.22 |
---|---|
용신이 무정 무력한 例. (0) | 2025.03.20 |
격각살(隔角殺)의 흉의 (0) | 2025.03.15 |
격국이 변한 여명. (0) | 2025.02.20 |
다양한 손재주를 가진 남명. (0) | 2025.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