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살혼잡격(官殺混雜格)
관살혼잡격(官殺混雜格)
사주에 정.편관이 같이 있는 것을 관살혼잡(官殺混雜)이라 하는데 日主가 弱하면 관살혼잡된 사주가 흉격(凶格)이지만 일주가 왕하면 관살혼잡이어도 무방하다.
사실상 관살혼잡이란 정관이나 편관이 대등하게 세력을 유지하고 있는 경우에 관살혼잡이라 한다. 정관이 왕하고 편관이 약하면 편관은 정관의 세력에 휩쓸리고 정관이 약하고 편관이 왕하면 정관은 편관에 휩쓸리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경우처럼 정관이 旺하여 편관을 흡수하면 이때 正官의 氣運은 太旺해지므로 偏官化 된다고 판단하므로 역시 吉하다고 판단할 수는 없다.
관살혼잡이지만 비겁 또는 인성이 弱하면 일주가 쇠약해지는데 이럴 경우에는 他 五行과 合이나 沖이 되어 정.편관 중 하나만 남기는 경우 사주가 吉해지는 것이다.
편인 정관 편관
戊 庚 丁 丙
寅 午 酉 辰
편재 정관 겁재 편인
天干에 官殺이 투출되었다. 年干 丙火 偏官은 日支 午火 및 時支 寅木에 通根하고 月干 丁火 정관은 日支 午火에 通根하니 正.偏官 모두 旺하다.
따라서 관살혼잡된 경우이다. 年支 辰土는 濕土라 旺한 火氣를 회화(晦火)하면 日干 庚金을 生하고 또한 月令인 酉金에 帝旺이 되니 日主 또한 旺하다.
中和를 이루기 위해서는 旺한 火氣를 剋制하고 日主 庚金의 氣運을 洩氣하는 食傷이 필요하다. 用神은 年支 辰中의 癸水이다.
庚子大運은 희신과 용신운이니 科擧에 及第하여 이름을 떨쳤고 辛丑大運은 辛金이 年干 丙火와 干合 水局의 用神運이고 丑土는 月支 酉金과 半合 金局의 喜神運이니 크게 발달한 것이다.
용신: 계수
희신: 금
기신: 토
한신: 목
구신: 화
- 작성자 배동원 -
관살혼잡(官殺混雜)
명중(命中) 구조에 대부분 관살혼잡(官殺混雜)을 꺼립니다.
하지만 현대사회에서의 관살혼잡(官殺混雜)은
투잡(Two jobs)으로 나타날 경우가 아주 많습니다.
물론 신강약(身强弱)을 떠나서요.
- 프로파일 예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