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학 연구

공망 육친(空亡 六親)

백산. 2023. 8. 18. 14:00

공망 육친(空亡 六親)

 

 

육친의 안위(安危)와 유무(有無)를 살필 때는 육친궁과 육친성을 살핀다.

육친성을 보려면 사길신과 사흉신을 가려 취하고, 육친궁을 볼 때는

오행(五行)의 왕상휴수(旺相休囚)가 기준이다.

 

甲戌年 寅月生의 자리 年干이 왕기(旺氣)를 띠므로 유력한 부친이다.

 

 

   時          日           月          年

자식  명주(命主형제         부

자식  배우자    월지(月支)   

 

육친궁의 오행(五行) 왕상휴수(旺相休囚)를 파악하는 기준은 월지(月支)이다.

월지(月支)를 기준으로 각 주() 별 간지의 생극제화(生剋制化) 여부를 본다.

 

월지(月支)는 충()이 되어도 월지(月支) 자체의 기()는 유효하다.

월지(月支)가 합()이 되면 합() 오행(五行)이 성립하느냐에 따라

육친의 왕쇠(旺衰)를 논한다.

 

월지(月支)에서 사절(死絶) 되어도 육친이 건전할 때는 합국(合局) 오행(五行)

생을 얻었기 때문이다.

 

 

乙甲丙甲

亥辰子午

 

1. ,月干 丙,은 사절(死絶)지 위에 앉았다.

2. 년지 午火도 월지(月支)와 충()되어 부모 형제 덕() 없다.

3. () 배우자궁은 월지 子辰 수국(水局)이니 발전한다.

4. 시간(時干) 乙木은 월,(,)지에서 왕상(旺相)하니 자식 덕()있다.

 

 

 

己己己甲

巳卯巳戌

 

1. 월령을 얻어 甲己合 土로 화()했다.

2. ,는 월지 갑를 얻어 화()한다.

3. 갑부(甲富)의 아들로 평생 호의호식(好衣好食) 했다.

 

배우자의 유무(有無)와 안위(安危)를 논할 때는 배우자 인 일지(日支)의 육신부터 본다.

일지(日支)가 인비식(印比食)이면 배우자 있다.

안위(安危)는 월지(月支) 대비 왕상휴수(旺相休囚)를 논한다.

 

일지(日支)가 재()나 살(), 상관(傷官)이면 월지(月支)에서 생왕(生旺)되어야

배우자의 존재와 안녕 말한다.

 

 

丙乙甲辛

子酉午亥

 

1. 일지(日支)가 인비식(印比食)이면 배우자 있다.

2. 배우자 안위(安危)는 월지(月支) 대비 왕상휴수(旺相休囚)를 논한다.

3. 일지(日支)가 재()나 살(), 상관(傷官)이면 월지(月支)에서

생왕(生旺)되어야 배우자의 존재와 안녕 말한다.

4. 일지(日支) 배우자 궁 酉金이 칠살이다.

5. 酉金이 월령(月令) 못 얻어 혼사부터 쉽지 않다.

 

 

 

壬壬乙乙

寅午酉卯

 

1. 일지(日支)가 인비식(印比食)이면 배우자 있다.

2. 배우자 안위(安危)는 월지(月支) 대비 왕상휴수(旺相休囚)를 논한다.

3. 일지(日支)가 재()나 살(), 상관(傷官)이면 월지(月支)에서

생왕(生旺)되어야 배우자의 존재와 안녕 말한다.

4. 일지(日支) 午火 ()는 배우자 속히 만나기 힘들다.

5. 월령(月令)도 못 얻었지만 寅午 半局으로 혼사 성립된다.

 

 

 

壬癸庚癸

戌巳申巳

 

1. 일지(日支)가 인비식(印比食)이면 배우자 있다.

2. 배우자 안위(安危)는 월지(月支) 대비 왕상휴수(旺相休囚)를 논한다.

3. 일지(日支)가 재()나 살(), 상관(傷官)이면 월지(月支)에서

생왕(生旺)되어야 배우자의 존재와 안녕 말한다.

4. 일지(日支) 巳火 ()는 휴수(休囚)되었다.

5. 또 시지(時支)에 입묘(入墓)되어 평생 獨身이다.

 

 

 

庚己己己

午亥巳酉

 

1. 일주 기준 辰巳 공망이다. 사대공망(四大空亡).

2. 일지(日支) 亥水는 충()으로 해공(解空)되었다.

3. ()으로 해공(解空)되어 배우자 있다.

4. 육친 볼 때는 공망 꼭 참고한다.

5. 공망이 되는 육친궁에는 해당 육친의 근심 있다.

 

 

 

- 나이스사주명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