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절집
전남 영암. 전통사찰. 축성암(祝聖庵)
백산.
2023. 7. 25. 06:00

축성암 극락보전.
주소: 전남 영암군 삼호읍 용당리 1841-1번지.
축성암은 1920년대 일제초기에 창건된 전통사찰로서 목포시에 인접한 해안가에 위치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 일대가 1990년대초 한라조선소 조성단지로 편입되면서 원래 위치에서 남쪽으로 1.5㎞ 떨어진 현 장소로 1994년 이전하였다.
한지에 묵서한 조성발원문(가로 118㎝×세로 26㎝)에 따르면 1700년(숙종 26) 해남 성도암에서 조성하였음을 알 수 있다.
- 출처 / 웹사이트 -

아미타삼존불.

관세음보살.

나반존자.

칠성단.

신중단.

대웅보전.

영암 축성암 목조 나반존자상 안내문.
靈巖 祝聖庵 木造 那畔尊者像 안내문.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10호.
나반존자상은 소발의 머리에 상호는 원만하며, 눈과 코 입 등이 사실적으로 표현하였고, 수인은 선정인을 취하였다. 표면의 채색은 주로 적색과 녹색이 주류를 이루고 있어 고풍스럽게 보인다. 규모는 총고 46㎝, 어깨폭 19.5㎝, 무릎폭 22.5㎝, 대좌고 11㎝이다.
비록 16나한 중의 한 나한이지만 미국의 메트로폴리탄 박물관에 있는 가섭존자상과 함께 조선시대 후기 목조조각 연구의 귀중한 자료로 생각되며, 또한 1700년이라는 절대연대를 밝혀줌으로써 이 시대의 불교조각사 연구에 하나의 기준이 될 것이라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 우리 지역 문화재 -



미륵전.

미륵보살.

극락보전과 대웅보전.

종무소.

요사채.

범종각.

부도탑(普明堂)

비(碑)와 탑(塔)
탐방: 2015년 6월 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