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학 연구

월령에 의한 격국 변화.

백산. 2024. 7. 9. 05:00

월령에 의한 격국 변화.

 

사주 추명에 있어 月令에 따라 格局 자체가 변화할 수 있다.

同一月支일지라도 月令이 어느 五行이냐에 따라 다르게 되는 것이다.

 

 

가령 예를 든다면...

 

@ 癸 辛 丙

@ 巳 丑 午    *小寒 後 15日生 (土月令)

 

命造丑月生으로 小寒 後 15日生으로 土月令에 속한다.

고로 月支 丑日支 巳火半合 金局의 성립과 동시에

天干 辛金天干誘引力에 의하여 金局을 이루게 되어 印綬格이 성립된다.

 

또한 年干 丙火月干 辛金하려 하지만 天干誘引力에 의하여

旺者偏化辛金庚金과 같아지므로 丙辛 合이 성립되지 않고

印綬格으로 변함이 없다.

 

 

 

@ 癸 辛 丙

@ 巳 丑 午    *小寒 後 5日生 (水月令)

 

命造丑月生으로 小寒 後 5日生의 경우에는 水月令에 속한다.

 

月支가 비록 丑土이지만 水月令이므로 가 아니라 에 해당하니

月支 丑土日支 巳火半合 金局을 이루지 못하게 되며

年干 丙火月干 辛金天干 合하며 月支에서

水月令을 만나니 比劫格으로 한다.

 

 

 

丁 乙 壬 庚

丑 酉 午 戌

 

위 명조는 午月生으로 月令 또한 火月令이다.

 

年支 戌土月支 午火가 반합 火局을 이루며 時干丁火透干하여

천간유인력이 성립되어 가 매우 하다.

 

또한 日支時支酉金丑土가 반합 金局을 이루며 年干庚金

透干하여 天干誘引力이 성립되어 金局 또한 하다.

 

그러나 月令을 얻은 火五行보다는 오행이 분명 하다.

 

 

 

@ 인수격이 록겁격으로 변한 .

 

乙 壬 丙 丙

巳 辰 申 子

 

己 庚 辛 壬 癸 甲 乙

丑 寅 卯 辰 巳 午 未

 

이 사주는 壬水 日干印綬申月하여 年支 子水

日支 辰土三合水局을 이루니 旺盛日干이 됨과 동시에

祿劫格으로 변하였다.

 

月令을 중심으로 三合이 성립되면 나머지 地支五行은 본분을

망각하고 으로 성립된 五行으로 따르게 된다.

 

月令에 의하여 比劫格이 성립되면 먼저 剋洩하는 하여

用神으로 삼는다.

 

그런데 日干陽干이었을 때는 하는 하게 되며 陰干

경우에는 하는 食傷하게 된다.

본 명조는 陽干이라서 하는 해야 하지만 하는 官星

없으니 하는 食傷하게 된다.

 

官星해야할 命造하는 하게 되거나 하는

해야 할 命造하는 할 경우에는 命造이 떨어지게 된다.

 

본 명조는 日干壬水 陽干이기에 먼저 하는 를 찾아보나

命中에 없으니 하는 수없이 하는 乙木 傷官用神으로 하고

丙火巳火 財星喜神으로 취한다. 고로 食傷生財格이라 할 수 있다.

 

 

 

@ 식신격이 재격으로 변한 .

 

丙 丁 丁 己

午 酉 丑 巳 (空亡: 辰巳) *土月令.

 

69 59 49 39 29 19 09

庚 辛 壬 癸 甲 乙 丙

午 未 申 酉 戌 亥 子

 

이 사주는 丁火日主冬節 丑月하여 地支巳酉丑으로 三合을 이루어 財星하다.

 

日主 丁火時柱丙午月上 丁火를 만나니 極弱은 아니지만 財星하면 하니 比劫으로 爲用하게 된다.

 

그런데 불행히도 初年 運勢北西로 돌아가니 매사가 답답할 일이로다.

 

 

 

*월령론에 대하여

 

특히 辰戌丑未月에 태어난 命造節入 後 12을 기준하여

前後에 따라 月令이 다르다는 것이다.

 

節入 後 12日 以前에는 前 月令五行을 지니게 되며

節入 12日 以後에는 土月令을 지니게 된다는 것이다.

 

가령 辰月生으로 淸明 後 12일까지는 卯月五行木月令이며

淸明 後 12以後부터 土月令을 지니게 된다는 것이다.

 

 

 

월령론의 자세한 설명은 본 블로그에 올려진 月令論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