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국 이야기

격국이야기

백산. 2025. 5. 27. 05:00

격국이야기

 

 

관살혼잡격(官殺混雜格)

 

사주에 정.편관이 같이 있는 것을 관살혼잡(官殺混雜)이라 하는데 日主하면 관살혼잡된 사주가 흉격(凶格)이지만 일주가 왕하면 관살혼잡이어도 무방하다.

 

사실상 관살혼잡이란 정관이나 편관이 대등하게 세력을 유지하고 있는 경우에 관살혼잡이라 한다. 정관이 왕하고 편관이 약하면 편관은 정관의 세력에 휩쓸리고 정관이 약하고 편관이 왕하면 정관은 편관에 휩쓸리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경우처럼 정관이 하여 편관을 흡수하면 이때 正官氣運太旺해지므로 偏官化 된다고 판단하므로 역시 하다고 판단할 수는 없다.

 

관살혼잡이지만 비겁 또는 인성이 하면 일주가 쇠약해지는데 이럴 경우에는 他 五行이나 이 되어 정.편관 중 하나만 남기는 경우 사주가 해지는 것이다.

 

편인   정관 편관

 戊  庚  丁  丙

 寅  午  酉  辰

편재 정관 겁재 편인

 

天干官殺이 투출되었다. 年干 丙火 偏官日支 午火 時支 寅木通根하고 月干 丁火 정관은 日支 午火通根하니 .偏官 모두 하다.

 

따라서 관살혼잡된 경우이다. 年支 辰土濕土火氣를 회화(晦火)하면 日干 庚金하고 또한 月令酉金帝旺이 되니 日主 또한 하다.

 

中和를 이루기 위해서는 火氣剋制하고 日主 庚金氣運洩氣하는 食傷이 필요하다. 用神年支 辰中癸水이다.

 

庚子大運喜神用神運이니 科擧及第하여 이름을 떨쳤고 辛丑大運辛金年干 丙火干合 水局用神運이고 丑土月支 酉金半合 金局喜神運이니 크게 발달한 것이다.

 

용신: 계수

희신:

기신:

한신:

구신:

 

 

- 작성자 배동원 -

 

 

관살혼잡(官殺混雜)은 투잡꾼이다.

 

명중(命中) 구조에 대부분 관살혼잡(官殺混雜)을 꺼립니다.

 

하지만 현대사회에서의 관살혼잡(官殺混雜)

투잡(Two jobs)으로 나타날 경우가 아주 많습니다.

 

물론 신강약(身强弱)을 떠나서요.

 

- 프로파일 예향 -

 

 

 

거살유관(去殺有官)

 

칠살(七殺:偏官)을 제거(除去)하고 정관(正官)을 남긴 걸 '거살유관:去殺留官'이라고 한다.

 

칠살(七殺)은 우리 임금의 자리를 노리는 의 수뇌(首腦)이니 반드시 除去 또는 合去해야 한다.

 

七殺正官 둘의 동석(同席)을 관살혼잡(官殺混雜)이라고 하는데 파격(破格)의 대표이다.

 

 

壬 庚 丙 丁

@ @ @

 

寅中 丙火 透干이니 편관격(偏官格)이다.

食神 壬水丙火를 날린 뒤 正官을 남겼다.

거살유관(去殺留官) 成格됐다.

 

 

, 七殺格官殺混雜七殺을 남겨도 成格이다.

반대로 正官格은 반드시 正官을 남겨야 한다.

 

 

1)

戊 壬 己 乙

 

偏官格으로 傷官正官을 날린 거관유살(去官留殺)이다.

 

 

 

2)

丁 甲 辛 庚

 

정관격(正官格)官殺混雜인데 상관견관(傷官見官)하며 去官留殺했다. 破格이다.

 

 

- 벽수 -

 

 

 

거관유살(去官留殺)

 

 

질문: 거관유살이란 무엇인가.

: ,관이 양립되어 있을 경우 정관은 合去하고 七殺有存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去官留殺이 성립되려면 반드시 도 있고 도 있어야 한다.

즉 다시 말하여 ,混雜되어야 하는데 柱中에서 제일 함은 ,官混雜인 것이다. 고로 계선편(繼善篇)에서도 말하기를 "歲月時 中大怕殺官混雜이라"(세월시 중에 대파는 살관혼잡이라)고 하였다.

 

이와 같이 제일 하는 ,混雜되어 있을 때 이 각자의 이 있으면 그 이 나서 하게 되는 법인데 合去하면 만 남아있게 되니 去官留殺이요, 合去하고 이 남아 있으면 "去殺留官" 이라고 하는 것이다.

 

 

예시 1)                예시 2)

시 일 월 년          시 일 월 년

庚 甲 丙 辛          辛 甲 乙 庚

 

가령 시라면 甲木辛金이요 庚金인데 ,兩立되어 있으므로 官殺混雜이 분명한데 年上 辛金 官月上 丙火丙辛으로 合去하고 時上 庚金만 남아 있으니 이것이 왈 "거관유살"이요,

 

시생이라 하면 ,으로 官殺混雜이 분명한데 年上 庚金 殺月上 乙木乙庚으로 合去하고 時上 辛金 官만이 남아 있으니 이것은 왈 "거살유관"이 된다.

 

생각하기에는 "거관유살"은 흉하고 "거살유관"은 길이 된다고 하겠지만 절대 그러한 것만은 아니다. 또 유의할 점은 이나 은 나를 하므로 중중(重重)으로 만남을 하지만 日主가 왕강하면 관살이 양립되었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또 한 가지는 거관유살이나 거살유관은 꼭 天干으로만 성립되는 것이 아니고 地支에서 沖剋되어도 成立된다는 점이다.

 

가령 辛卯辛卯戊寅일 예와 같이 年支 卯木 官 月支 卯木 官은 각 간두(干頭) 辛金除去를 당하였고 日支 寅木 殺만이 남아 있으므로 이것 역시 "거관유살"이 성립된다.

 

그런데 前者後者와의 차이는 前者合去後者除去인데 撤軍으로 말하면 前者自進撤收後者强制撤收에 해당하는 것인데 撤軍하여 나를 侵攻하지 않는 다는 점에서는 자진철수이거나 강제철수이건 동일한 것이다.

 

 

예시 () 거관유살

 

壬 丙 戊 癸

辰 午 午 丑

 

壬 癸 甲 乙 丙 丁

子 丑 寅 卯 辰 巳

 

이 사주는 ,癸 水官殺混雜이나 年上癸水 官月上 戊土戊癸合去하였고 時上 壬水 殺만이 自坐 辰中 癸水하여 獨殺存留하니 거관유살이 분명하다.

 

그런 중 ,土 太旺戊土透出되어 이 되는데 中年 甲寅, 乙卯除去病 土하여 하기 시작하다가 北方 壬癸 水雲用神하였으므로 크게 히 된 사주이다.

 

 

 

예시 () 거살유관

 

乙 戊 己 甲

卯 辰 巳 辰

 

壬 辛 庚

申 未 午

 

이 사주는 戊日生官殺混雜하고 있는데 다행히 年上 甲木 七殺合去 己土하고 時上 乙木 官星만이 남아 있으니 거살유관이 분명하다. ,日支2辰土가 있다하나 그 辰土濕土帶木之土로서 卯辰으로 結局하여 身弱하다가 甲木 殺合己化土하여 弱化爲强으로 매우 하게 이루어져 行 水木之運入闕한 사주이다.

 

 

斷曰: 官殺去留하니 去禍留福이요 仁政不暴하니 鳳凰來舍.

(단왈: 관살이 거류하니 거화유복이요 인정불포하니 봉황이 래사라.)

 

단언하면: 관살이 갈건 가고 남을 건 남으니 는 가고 은 남음이요 어질게 政事를 펴 포악하지 않으니 봉황이 관청으로 날아든다.

 

 

[주석]

歲月時 중에 大怕殺官混雜이라"

(세월시 중에 대파는 살관혼잡이라):

 

, , 에 크게 두려워하는 것은 살과 관이 混雜되는 것이다.

 

 

 

 

거류서배(去留舒配)

 

질문: 거류서배란 무엇인가.

 

: 하고 하고 짝이 되는 는 짝을 지어 殺官이 잘 조정되어 있다는 뜻이다.

 

이 거류서배(去留舒配)하는 , 하는 , 서배(짝 짓는 것)하는 로써 三者가 있어야 된다.

 

다시 말하여 이 둘에 이 하나라던가 아니면 이 둘에 이 하나라던가, 이렇게 三者로 구성되는 것인데 살이나 관중에 그 하나는 충 또는 극을 당하여 거하고 관살 중 또 하나는 합이 되어 있고 또 관살 중 하나는 머물러 있는 경우를 말하여 거류서배라고 한다.

 

고로 전번 거관유살이나 거살유관은 이 거류(去留) 2종으로써 성립되었지만 이 은 서배(舒配)가 하나 더 있어 3종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차이점인 것이다.

 

따라서 조정이 잘못된 官殺이 셋씩이나 있어 관살혼잡으로 身弱하여 살중신경(殺重身輕)으로 파란만장과 苦厄이 연첩되는 것이며 女命은 중가(重嫁) 삼가(三嫁)一身이 부정(不停)될 것은 사실이지만 이 거류서배가 잘 이루어진 사주는 그 官殺조정이 잘 이루어져서 도리어 富貴하고 福祿을 누리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법을 모르는 술자(術者)들은 흔히 多 官殺이 되어 크게 不吉하다는 등으로 誤斷을 내리는 일이 非一非再하게 되는 것이다.

 

 

예시 1)

癸 甲 丙 辛

酉 寅 申 亥

 

가령 辛亥丙申甲寅癸酉시라면 年上 辛金 官月上 丙火丙辛 合으로 배필이 되었고(서배) 月支 申金 殺日支 寅沖去시켰으며() 時支 正官 酉金만이 머물러() 있게 되니 이것은 분명 ,이 짝하고 ,沖去하고 時干 官하고 있어 거류서배의 정례인 것이다.

 

이런 사주를 여자의 경우 官殺이 셋이나 있다하여 여러 번 改嫁한다고 斷定을 내려서는 안 되는 것이다.

 

 

@예시 ()

 

丁 辛 壬 丁

酉 巳 子 亥

 

丙 丁 戊 己 庚 辛

午 未 申 酉 戌 亥

 

이 사주는 年上 丁火 日支 巳火 時上 丁火官殺三重하여 본시 大 不吉한 사주와 같이 보이나 年上 丁火 殺月上 壬水丁壬으로 배필이 되었고(舒配) 日支 巳火 官을 받아 하였으며 時上 丁火만이 하여 시상일위귀격(時上 一位貴格)이 되어있다.

 

11로써 북풍한설에 매우 쇠약한 것인즉 柱中 水一位貴 火이 된다.

運行 戊戌,己運除去病하고 ,丙運助起火하여 宰相이 된 사주이다.

 

 

 

@예시 ()

 

甲 辛 丁 壬

午 丑 未 辰

 

癸 壬 辛 庚 己 戊

丑 子 亥 戌 酉 申

 

이 사주는 月上 丁火 未中 丁火 午中 丁火三殺인데 月上 丁火丁壬合去(서배)하였고 未中 丁火丑未沖去 시켰으며 時支 午火만이 存留로써 거류서배(去留舒配)”가 분명한데 未中 丁火 透出偏官格이요. 午未類聚火局하니 軟弱辛金으로서는 그 强烈를 겁내게 되므로 日主之病이 되고 壬水制合하여 이 된다. 고로 病重藥輕으로 藥運苦待하게 되는데 行 亥運宰相職에 오르게 된 것이다.

 

 

斷曰: 去留舒配紛爭調整이라 明辨重輕富貴自覺이라.

(단왈: 거류서배는 분쟁조정이라 명변중경에 부귀를 자각이라.)

 

단언하면: 거류서배는 분쟁을 조정하는 것이라 밝게 무거움과 가벼움을 분별함에 부귀를 스스로 깨닫는다.

 

 

[주석]

살중신경(殺重身輕): 살은 무겁고 일간은 신약함.

중가(重嫁): 두 번 결혼함.

부정(不停): 한 곳에 머무르지 못함.